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자격증.면허증)내용 알기

예비 중학생이 알아야 하는 필수 정보

by 일어나기 2023. 3. 15.
반응형

초등학생 6학년을 졸업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걱정은 중학교에 가기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 꼭 알고 준비해야 하는 예비 중학생이 알아야 하는 필수 정보 준비물과 학습준비, 학교생활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교복준비와 학용품 준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복 준비

교복은 지자체에 따라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부 광역시는 제외되기도 합니다.  금액이 있다 보니 지원금을 받는 경우는 예비중학생의 학부모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교복은 그 자체도 비싸지만 추가해야 하는 상의 및 여름 상하복, 체육복 등 추가비가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2. 학용품 준비

중학교에 올라가면 초등학생의 습관은 버리고 어엿한 중학생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학용품은 필요한 삼색 볼펜과 15cm 자, 수정테이프, 포스터잍, 샤프펜, 네임펜 등 최소한의 용품만 필요합니다. 따로 준비할 것이 없습니다.

 

 

중학생 사진

 

학습 준비

기초학력진단평가, 영어공부법, 수학공부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기초학력진단평가

중학교에 들어가면 기초학력진단평가를 치릅니다. 입학 후 3월 초에 바로 평가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입학 전에 치르기도 합니다. 기초학력진단평가는 학교에 따라 학습부진자에 대한 학습지원을 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입니다. 과목별로 평가를 받게 되며 모든 학교가 같진 않지만 보통 50 ~ 60점을 기준으로 학습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구분합니다. 

중학교 1학년이 보는 문제는 초등학교 6학년 문제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전체 문제를 출제 합니다. 기초학력진단평가는 말그대로 기초학력을 보는 것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이 쉽게 출제됩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영어 공부법

학원을 가는 경우는 문제 없겠지만 학원을 다니지 않는 학생의 경우는 공부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먼저 서점에 들러 듣기 평가에 필요한 문제집을 구매하세요. 제일 먼저 꼭 해야 하는 것은 듣기평가 준비입니다. 하루에 한회차 씩 듣기 평가를 진행합니다. 문제집을 준비하고 듣고 풀어보기를 해야 합니다.

듣기 평가와 함께 문법과 독해, 서술형 문제 순으로 문제집을 풀어나가세요. 매일 계속 꾸준히 하기가 포인트입니다. 그리고 교과서에 있는 본문을 모두 외워야 합니다. 시험 범위의 단어는 무조건 외우기를 추천합니다.

 

5. 수학 공부법 

수학 역량이 부족한 경우는 학원을 다녀야 합니다. 학원을 다니지 않는 경우는 문제집과 ebs인강을 추천합니다. 문제집은 시중에서 쉬운 것부터 시작합니다. 한 단계씩 높여 가며 풀어야 합니다. ebs 인강은 문제집을 풀 때 가장 어려운 문제 유형을 파악해서 학생들이 못 풀 것 같은 문제를 콕 짚어 풀어주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문제집 구입 시 앞 전년도 문제집을 병행해서 풀어야 효과가 좋습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은 중1 문제집과 중2문제집을 같이 풀어나가야 합니다. 그래야 개념 잡기가 쉽습니다. 한 학년 아래 문제집을 같이 풀기가 포인트입니다. 1학년 초반에 어려운 수학이 많이 나오니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1학년 수학 문제집을 풀어보셔야 당황하지 않습니다. 예습이 필요합니다.

 

 

 

 

학교 생활

벌점과 상점, 학교 폭력, 수행평가, 공부 습관 들이기, 친구 사귀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 벌점과 상점

중학교에 가면 벌접과 상점을 받습니다.

초등학생이 아니니 복도에서 뛴다거나 교복이 단정하지 않을 경우 벌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점은 수업 중 태도와 이해력이 뛰어난 학생에게 선생님 권한으로 상점을 받습니다. 상점 1점은 벌점 1점을 차감할 수 있습니다. 

 

7. 학교 폭력 

요즘 연예인들을 보면 학교 폭력 문제로 본인의 커리어를 깎고 심한 경우는 아예 방송에서 하차하기도 하는 학교 폭력은 참 무서운 범죄입니다. 학교 폭력은 누구나 당할 수 있고 남녀공학일 경우 성의 차가 있기 때문에 서로 불쾌한 터치는 없어야 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장난을 치다 학교 폭력의 가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피해자와 가해자는 누구나 될 수 있으니 본인의 행동으로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지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기 바랍니다.

 

8. 수행평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수행평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수행평가는 잘하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체크한다면 중학교의 수행평가는 학교에 따라 10~20%의 비율로 성적에 반영되는 진짜 성적을 매기는 것입니다. 수행평가니 대충 하자가 아닌 열심히 해야 하는 것입니다. 중학교 2학년 성적부터는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위한 성적 산정에 점수가 반영되기 때문에 무엇하나 대충 하는 습관은 원하는 고등학교에 들어갈 수 없는 안타까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학교부터는 정말 열심히 해야 할 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구분해서 행동해야 합니다.

 

9. 공부 습관 들이기

중학교에 들어가면 초등학교와 비교가 안될 정도로 학습양은 늘어납니다. 과목별로 요일을 정하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 후 외우기 바랍니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는 생각보다 빨리 날짜가 다가오니 말입니다. 아차 하다 시간이 부족하고 공부량이 적어서 성적이 낮게 나오면 중학생임에도 공부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학생은 아직 미래를 포기하기엔 이른 나이이고 공부하기 늦지 않습니다. 처음 중간고사, 기말고사 성적에 미래를 걸지 말길 바랍니다. 충분히 따라갈 수 있으니 좌절하지 마세요.  하루 30분씩 요점정리 후 외우는 공부 습관을 들여서 성취감을 맛보길 바랍니다.

 

10. 친구 사귀기

중학생들이 새 학기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하는 고민이 친구문제입니다. 친구는 한 학년을 심심하지 않고 지루하지 않게 보낼 수 있는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그래서 친구 사귀는 일에 용기를 내야 합니다. 친구들이 벌써 무리를 형성했다면 더더욱 용기의 말 한마디가 필요합니다. 나와 성향이 비슷한 친구가 보인다면 주저 없이 말 걸어야 합니다. 2명씩 짝을 이루었다면 그중 한 명을 공략해서 말 걸기를 해야 합니다.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지우개나 볼펜등을 빌린다던지 줄 섰을 때 말을 건다던지 친구 사귀기에 진심이어야 합니다. 새 학년에 꼭 고민하고 우는 친구들이 많이 있습니다. 요즘 한 학년의 학생들이 20명 정도 됩니다. 이 중 나와 맞는 친구 찾기가 쉽지 않지만 주저하지 마세요. 용기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